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기초연금 혜택과 국민연금 수급자혜택

기초연금 지원인원 및 금액비교와 기초연금 도입에 따른 국민연금 수급자의 혜택

정부는 현재 생활이 어려운 어르신들의 걱정을 덜어드리고, 현 세대 청·장년층과 미래 우리 자녀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 향후 안정적인 공적연금을 보장하기 위한 기초연금 도입계획을 확정하였다.

이번에 확정된 기초연금제도 정부안은 65세 이상 노인 중 상대적으로 생활여건이 나은 분들을 제외하고, 대상이 되는 70% 어르신의 거의 대부분(90%)인 353만명에게 당초 약속대로 20만원을 '14년 7월부터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민연금 소득 등 노후준비가 어느 정도 되어 있는 일부 어르신들(38만명)에게는 기초연금을 다소 감액하여 지급하게 되며 기본적으로 10만원은 보장하였다.

* 기초연금 대상인 국민연금 수급자 88만명 중 70%인 61만명에게 20만원 지급

이에 따라 어느 누구라도 최소한 현행 기초노령연금 수준(최대 96,800원, 부부 최대 154,900원) 이상의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

기초연금 도입 시 국민연금 수급자는 무연금자에 비해 더 많은 혜택을 받게 된다.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통해 국민연금 수급자는 무연금자에 비해 본인이 기여한 것보다 훨씬 많은 연금을 받게 된다. 즉, 총 연금액(국민+기초연금)에서 본인이 납부한 보험료를 빼더라도(純공적연금액*) 무연금자의 기초연금액보다 항상 많게 된다.

* 순 공적연금액이란, 국민연금 및 기초연금 등 본인이 받는 총 연금액에서 보험료 등 기회비용을 뺀 금액을 말함



붙임 1

 

 기초연금 도입에 따른 지원인원 및 금액 비교


연금액

< 기초노령연금 수급자 >

< 기초연금 수급자 >

20만원

-

353만명

15~20만원

-

20만명

10~15만원

-

18만명

9.7만원

391만명

-

제 외

(소득상위 30%)

207만명

207만명


  * ’12.12월 인구 기준 (65세이상 노인 598만명)

 

붙임 2

 

 기초연금 도입으로 인한 국민연금 수급자의 혜택


□ 국민연금 수급자 손해보지 않습니다.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통해 국민연금 수급자는 무연금자에 비해 본인이 기여한 것보훨씬 많은 연금을 받게 됨


 ○즉, 총 연금액(국민+기초연금)에서 본인이 납부한 보험료를 빼더라도(純공적연금액*) 무연금자의 기초연금액보다 항상 많음


    * 순 공적연금액이란, 국민연금 및 기초연금 등 본인이 받는 총 연금액에서 보험료 등 기회비용을 뺀 금액을 말함


오래 가입해도 불리하지 않습니다.


 ○정부안 시행 시 가입기간이 늘어날수록 실제 지원받는 금액(純공적연금액)은 더욱 커짐


   -(평균소득대체율 40% 기준) 가입기간 1년이 증가할 때마다 기초연금액은 월 6천 7백원 감소하지만, 국민연금으로부터 월 1만원 이상의 금액을 추가로 지원 받게 됨

 

 


< 가입기간별 급여 >


 ① 소득 100만원

(단위: 만원, 2014년 7월 현재)

 

기초연금

국민연금

총액

10년

20.0 

20.0

40.0

11년

20.0 

22.2

42.2

12년

19.1 

24.4

43.5

13년

18.1 

26.7

44.8

14년

17.1 

28.9

46.0

15년

16.1 

31.2

47.3

16년

14.8 

33.9

48.7

17년

13.5 

36.7

50.2

18년

12.2 

39.4

51.6

19년

10.8 

42.2

53.0

20년

10.0 

44.9

54.9

 

 


 ② 소득 200만원

    (단위: 만원, 2014년 7월 현재)

 

기초연금

국민연금

총액

10년

20.0 

26.6

46.6

11년

20.0 

29.6

49.6

12년

19.1 

32.6

51.7

13년

18.1 

35.6

53.7

14년

17.1 

38.6

55.7

15년

16.1 

41.6

57.7

16년

14.8 

45.1

59.9

17년

13.5 

48.6

62.1

18년

12.2 

52.1

64.3

19년

10.8 

55.6

66.4

20년

10.0 

59.1

69.1

산식에 2/3 반영 됨 : 국민연금 장기가입자에게 보다 유리


   * 2014년부터 가입 시


 ① 100만원 소득자

   - 2/3 반영 전 5년 가입 연장 시마다 총 급여액 2~4만원 증가

   - 2/3 반영 후 5년 가입 연장 시마다 총 급여액 5~6만원 증가


가입기간

구분

10년 가입시

15년 가입시

20년 가입시

반영 전

월 36만원

(국민 17 + 기초 19)

월 38만원

(국민 24 + 기초 14)

월 42만원

(국민 32 + 기초 10)

2/3 반영 후

월 37만원

(국민 17 + 기초 20)

월 43만원

(국민 24 + 기초 19)

월 48만원

(국민 32 + 기초 16)


 ② 200만원 소득자

   - 2/3 반영 전 5년 가입 연장 시마다 총 급여액 6만원 증가

   - 2/3 반영 후 5년 가입 연장 시마다 총 급여액 7~10만원 증가


가입기간

구분

10년 가입시

15년 가입시

20년 가입시

반영 전

월 41만원

(국민 22 + 기초 19)

월 47만원

(국민 33 + 기초 14)

월 53만원

(국민 43 + 기초 10)

2/3 반영 후

월 42만원

(국민 22 + 기초 20)

월 52만원

(국민 33 + 기초 19)

월 59만원

(국민 43 + 기초 16)


□ 청․장년층, 중산층이 손해보는 일은 없습니다.


 ○미래세대의 경우 현 세대 노인보다 국민연금에 오래 가입하여도 20만원 수급 가능


   - 미래세대의 경우 15년 동안 가입해도 무연금자와 동일한 20만원 수령 (30년 가입시까지 10만원 이상 수급, 30년이상 가입시 10만원 수급)


   - 현세대 노인의 경우 11년 이상 가입하면 20만원 이하의 금액을 받지만, 수급기간이 짧은 노인(특례노령연금수급자)이 대부분으로 88만명(지급대상에 해당하는 국민연금 수급자) 중 70%가 20만원을 받게 됨


 < 현세대와 미래세대의 국민연금 가입기간별 기초연금액 >

        (단위: 만원)

가입기간

현재세대 노인

(’14.7월 수급자)

② 미래세대 노인
(’28년 이후 소득대체율 40%)

10년

20

20

11년

20

20

12년

19

20

13년

18

20

14년

17

20

15년

16

20

16년

15

19

17년

14

19

18년

12

18

19년

11

17

20년

10

17

30년

10

10

 ○1인당 조세부담율을 비교해도 현행 기초노령연금제도보다 미래세대의 부담이 줄어들게 됨


 < 총인구 1인당 조세부담액 (단위: 만원) >

 

2015

2020

2040

경상가

불변가

경상가

불변가

경상가 

불변가

현행 기초노령연금

12.1

10.5

26.5

19.5

218.5

98.1

전체 20만원

30.1

26.2

51.3

37.6

315.8

141.8

정부안

20.1

17.4

33.5

24.6

195.4

87.7

   * 정부안은 2014년 7월 시행되므로, 반년에 걸쳐 제도가 시행되는 2014년보다는 全년도에 걸쳐 시행되는 2015년을 비교하는 것이 가까운 미래에 대한 적실성 있는 비교가 될 것임


 ○추가적으로, 2008년부터 출산크레딧과 병역크레딧 제도가 시행되어 미래세대는 출산 및 병역의무 수행 시 가입기간이 추가로 인정되는 혜택을 받게 됨


<참고 1> 단기 재정 소요 (추계)

(단위: 조원, 천명)

 

2014년 상반기

(기초노령연금)

2014년 하반기

(기초연금)

2015년

2016년

2017년

재정 소요

총액

2.2

4.8

10.3

10.9

11.4

국비

1.6

3.6

7.7

8.1

8.5

지방비

0.6

1.2

2.6

2.8

2.9

<참고 2> 각 대안별 재정 소요 비교


(단위: 조원)

 

2014~2017년

2020년

2030년

2040년

정부안

39.6

17.2

49.3

99.8

기초노령연금

26.9

13.7

53.6

111.6

70% 20만원

40.7

17.8

53.6

111.6

100% 20만원

57.1

25.5

74.3

157.8

  * 2023년에 정부안(21.8조) < 기초노령연금(21.9조)

반응형